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적 의의와 그 의미 - 자기조절학습과 상담심리학

학생의 자발적인 학습인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적인 의의에 대한 내용과 이론적인 발달 과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인지적이고 동기적이며 행동적인 측면들을 골고루 고려한 입장이 있는가 하면, 인지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집중한 입장도 있습니다. 


자기조절학습의 이론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적 의의



자기조절학습의 의미와 이론적 발달 - 자기조절학습의 의미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이론과 연구는 학생들이 어떻게 자기 자신들의 학습과정을 익히는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면서 1980년대 중반에 출현하였다(Zimmerman, 200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과 관련된 입장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측면을 고려한 입장

첫째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필요한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입장으로 이는 Zimmerman을 중심으로 주로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입장을 살펴보면, Corno와 Mandinach(1983)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으로 학업성취를 촉진하여 학습에서 지식을 획득하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Zimmerman(1989)은 자기조절된 학습자를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학습자’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자기조절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자기평가, 조직화, 변형화, 목표설정, 계획수립, 정보탐색, 기록유지, 모니터링, 환경의 구조화, 시험지 하기, 교재 복습하기 등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고 하였다.

박금옥(1998)은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에서 상위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으로 주어진 문제의 맥락에 적절하게 학습과제를 심화시키고 조정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상위인지적 과정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 계획, 목표설정, 조직, 자기조절, 자기평가하는 것이며, 동기적 과정은 학습자들이 높은 자기효능감, 자기귀인, 내적 과제 흥미 등을 갖게 되는 것이고, 행동적 과정에서는 학습자들이 최적의 학습 환경을 선택하고 창조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Zimmerman의 견해에 근거한 것이다. 송인섭과 박성윤(2000)은 Bandura의 사회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을 ‘학습자들이 학업 수행의 향상을 위해서 상위인지적으로, 동기적으로, 행동적으로 적극 참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방선욱(2004)은 ‘학습자 개인의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측면의 적극성과 능동성을 바탕으로 타인의 조력 여부와는 관계없이 학습자가 학습의 주도권을 가지고서, 자신의 학습 욕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실행하여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 및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2. 인지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입장

둘째는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적 측면에만 집중하여 초인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입장으로, 주로 유럽과 Vygotsky를 계승하는 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정미경, 1999; 박병기 등, 2005).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적 측면에 집중하여 초인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정의한 입장을 살펴보면, Corno(1986)는 ‘학습 내용에서 연합적 망을 조직ㆍ심화하며, 심화된 과정을 점검ㆍ개선시키려는 자발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 같은 정의는 자기조절학습의 초인지 전략과 의지적인 면을 강조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효율적인 인지전략을 지니고 있더라도 초인지 통제를 잘하지 못하면 학습에 실패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Pintrich와 DeGroot(1990)는 ‘학습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학습자료를 지각한 후에 그것을 조작하여 장기기억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인출해 내는 인지능력과 인지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초인지능력’을 자기조절 학습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Flavell(1997)은 초인지적 지식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지식, 학습과제의 본질에 대한 지식 그리고 전략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박성은(2004)은 자기조절학습을 ‘학습자가 자신을 정확하게 지각할 수 있고, 긍정적인 자아개념 및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계획하고, 점검하고, 평가하며, 조절 및 통제하는 등의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여 초인지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결론


자기조절학습을 ‘자신의 동기와 학습 행동을 자기평가하여 스스로 조절하며, 인지능력과 초인지능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참고할 글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동기에 대한 용어 개념 정리 - 학습과 상담심리학

학습 습관과 학업 성취도에 대한 용어 개념 정리 - 학습과 상담심리학


댓글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