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동기에 대한 용어 개념 정리 - 학습과 상담심리학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동기



교육연구자들은 오랜 세월 동안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정신능력이나 학업의 성취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그들의 연구의 산물들 중에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상담과 성취 동기에 대한 상담심리학적인 개념 정리를 간략하게 하였습니다.



자기조절학습 상담과 성취 동기의 개념



현실요법적 자기조절학습 상담


김인자(2005)는 현실요법을 ‘내담자들이 그들의 삶을 좀 더 효과적으로 통제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속적인 도움의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Mandinach(1983)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으로 학업성취를 촉진하여 학습에서 지식을 획득하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한편 Corno(1986)는 자기조절학습을 ‘학습 내용에서 연합적 망을 조직ㆍ심화하며, 심화된 과정을 점검ㆍ개선시키려는 자발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실요법을 ‘참여자들이 내적 통제력을 길러 올바른 행동을 선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상담’이라고정의하였고, 자기조절학습은 ‘자신의 동기와 학습행동을 자기평가하여 스스로 조절하며, 인지능력과 초인지능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학습’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현실요법과 자기조절학습의 정의에 기초하여, ‘현실요법적 자기조절학습 상담’을 ‘자신의 동기와 학습행동, 인지 및 초인지 전략을 스스로 평가하여 자기 통제하고, 참여자 자신이 학습 관련 활동을 선택하여 행하도록 도와주는 상담’이라고 정의하였다. 



성취 동기


McClelland, Atkinson, Clark과 Lowell(1953)은 성취 욕구를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고난과 방해를 극복하며 이를 달성하려는 욕구’라고 하였으며, 성취동기란 ‘성취로부터 자부심을 경험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성취로 인해서 유쾌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며, 이 유쾌한 정서를 추구하기 위해서 성취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실패가 몰고 온 불유쾌한 경험을 통해서 실패를 회복하려는 동기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박한숙(2000)은 성취동기를 ‘학교 학습상황에서의 학업성취를 포함하여 학습자가 활동하는 전 생활 범주 내에서 도전적인 과제를 성취함으로써 만족을 얻으려고 하는 의욕’이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하고 있는 현실요법에서는 생존, 사랑, 힘, 자유, 즐거움이라는 다섯 가지 기본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동기가 발생한다고 본다.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가 실현되기를 바라는 최상의 사진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진들이 각자의 바람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현실요법에서의 성취동기는 ‘각자의 욕구와 바람을충족시키려는 의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에서도 동기는 하나의 구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동기요인에 포함되는 요소들은 자기효능감, 목표설정, 성취가치 등이다. 그러므로 자기조절학습 측면에서의 성취동기는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려는 의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를 ‘성취를 통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의욕’이라고 정의하였다.



참고할 글


요소수 부족의 원인과 영향, 그리고 해결책의 제안


댓글

관련 글